슬픔을 함께 나누는 공동체 (사무엘하1:17~27)
17 다윗이 이 슬픈 노래로 사울과 그의 아들 요나단을 조상하고
18 명령하여 그것을 유다 족속에게 가르치라 하였으니 곧 활 노래라 야살의 책에 기록되었으되
19 이스라엘아 네 영광이 산 위에서 죽임을 당하였도다 오호라 두 용사가 엎드러졌도다
20 이 일을 가드에도 알리지 말며 아스글론 거리에도 전파하지 말지어다 블레셋 사람들의 딸들이 즐거워할까,
할례받지 못한 자의 딸들이 개가를 부를까 염려로다
21 길보아 산들아 너희 위에 이슬과 비가 내리지 아니하며 제물 낼 밭도 없을지어다 거기서 두 용사의
방패가 버린 바 됨이니라 곧 사울의 방패가 기름 부음을 받지 아니함같이 됨이로다
22 죽은 자의 피에서, 용사의 기름에서 요나단의 활이 뒤로 물러가지 아니하였으며 사울의 칼이 헛되이
돌아오지 아니하였도다
23 사울과 요나단이 생전에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자이러니 죽을 때에도 서로 떠나지 아니하였도다
그들은 독수리보다 빠르고 사자보다 강하였도다
24 이스라엘 딸들아 사울을 슬퍼하여 울지어다 그가 붉은 옷으로 너희에게 화려하게 입혔고 금노리개를
너희 옷에 채웠도다
25 오호라 두 용사가 전쟁 중에 엎드러졌도다 요나단이 네 산 위에서 죽임을 당하였도다
26 내 형 요나단이여 내가 그대를 애통함은 그대는 내게 심히 아름다움이라 그대가 나를 사랑함이
기이하여 여인의 사랑보다 더하였도다
27 오호라 두 용사가 엎드러졌으며 싸우는 무기가 망하였도다 하였더라
* 활 노래(18절) 요나단이 사용한 활(22절)에 착안해 그의 죽음을 추모한 노래임을 나타낸다.
* 야살의 책(18절) ‘의인의 책’이란 뜻으로, 고대 이스라엘의 이야기와 시를 모아 놓은 책이다.
이스라엘 백성과 지도자들의 영웅적인 업적을 기리는 책이었을 것이다.
* 영광(19절) 문자적으로는 ‘영양’(羚羊)을 가리키며, 고귀한 신분을 뜻한다.
* 붉은 옷…금노리개(24절) 사울이 전쟁에서 이기고 가져온 전리품과 그로 인한 물질적 번영을 뜻한다.
오늘의 말씀요약
다윗이 슬픈 노래로 사울과 요나단을 애도합니다. 이 노래는 야살의 책에 기록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영광, 두 용사가 산 위에서 죽임을 당했습니다. 그들은 독수리보다 빠르고 사자보다 강했습니다.
다윗은 자신을 사랑함이 여인의 사랑보다 더했던 요나단 때문에 애통합니다.
오늘의 말씀해설
활 노래(1:17~21)
다윗은 사울과 요나단을 추모하기 위한 공적인 책임을 다합니다. 이스라엘의 애가 또는 장송가는
죽은 이의 과거를 돌아보고 청중의 애도를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다윗은 사울과 요나단을 위해
‘활’이라고 칭한 애가를 손수 짓고, 유다 족속에게 가르치도록 합니다. 두 지도자의 죽음은 공동체가 함께
애도할 일이며, 그들의 이야기는 후대에 전해져야 할 만큼 가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애가가 수록된
‘야살의 책’은 이스라엘 영웅들의 이야기를 모은 문헌이었을 것입니다. 다윗은 뛰어난 두 용사의 죽음이 알려져,
이스라엘이 이방 민족에게 수치를 당할까 봐 염려합니다. 다윗은 사울의 죽음을 권력 쟁취의 기회로 삼지 않고,
사울을 이스라엘의 탁월한 지도자로 인정하며 그의 죽음을 슬퍼합니다. 이런 다윗은 참으로 성숙한 사람입니다.
- 묵상 질문: 이스라엘 전체가 사울의 죽음을 함께 애도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요?
- 적용 질문: 공동체가 겪는 어려움과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어떻게 함께할 수 있나요?
사울과 요나단을 칭송함(1:22~27)
다윗은 사울과 요나단이 생전에 이룬 영웅적인 위업을 칭송합니다. 그들은 혼란스러운 왕정 시대 초기에
변변치 못한 군대를 이끌고 블레셋, 모압, 암몬 같은 강적과 싸운 군사 지도자였습니다. 다윗은 사울의 칼이
항상 승리했고 요나단의 활은 언제나 표적을 맞추었다며 그들의 용맹함을 칭송합니다. ‘붉은 옷과 금노리개’는
사울이 전투에서 얻은 전리품으로, 사울의 통치로 이스라엘이 경제적 번영을 누렸음을 나타냅니다.
다윗은 요나단과의 특별한 우정도 언급합니다. 그리고 ‘무기’였던 두 용사, 사울과 요나단의 전사를
안타까워하며 애가를 끝맺습니다. 떠난 사람의 좋은 모습을 기억하는 것이 덕을 세우는 일입니다.
- 묵상 질문: 다윗은 사울과 요나단을 어떤 존재로 기억하나요?
- 적용 질문: 내 곁이나 공동체를 떠난 사람들을 떠올릴 때, 어떤 모습을 잊고 어떤 모습을 기억해야 할까요?
오늘의 기도
다른 사람의 실패를 자기 성공의 발판으로 삼으려 하는 모진 시대에,
타인에 대한 예의를 지킬 줄 아는 제가 되기 원합니다.
모든 사건에 하나님의 섬세한 간섭하심이 있음을 믿고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기대하게 하소서.
'≡ Bible QT 구약권 > 사무엘하 (삼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 (삼하3:17~27) (0) | 2016.01.12 |
---|---|
(5) 인간의 지략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섭리 (삼하3:1~16) (0) | 2016.01.11 |
(4) 인정할 것을 인정하지 않으면 손해입니다 (삼하2:18~32) (0) | 2016.01.10 |
(3) 불필요한 싸움을 그치고 하나님 뜻을 따르십시오 (삼하2:1~17) (0) | 2016.01.09 |
(1) 남의 불행을 이용하지 마십시오 (삼하1:1~16)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