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성숙하게 하는 고난의 은혜 (사무엘하16:1~14)
1 다윗이 마루턱을 조금 지나니 므비보셋의 종 시바가 안장 지운 두 나귀에 떡 이백 개와 건포도 백 송이와
여름 과일 백 개와 포도주 한 가죽 부대를 싣고 다윗을 맞는지라
2 왕이 시바에게 이르되 네가 무슨 뜻으로 이것을 가져왔느냐 하니 시바가 이르되 나귀는 왕의 가족들이
타게 하고 떡과 과일은 청년들이 먹게 하고 포도주는 들에서 피곤한 자들에게 마시게 하려 함이니이다
3 왕이 이르되 네 주인의 아들이 어디 있느냐 하니 시바가 왕께 아뢰되 예루살렘에 있는데 그가 말하기를
이스라엘 족속이 오늘 내 아버지의 나라를 내게 돌리리라 하나이다 하는지라
4 왕이 시바에게 이르되 므비보셋에게 있는 것이 다 네 것이니라 하니라 시바가 이르되 내가 절하나이다
내 주 왕이여 내가 왕 앞에서 은혜를 입게 하옵소서 하니라
5 다윗 왕이 바후림에 이르매 거기서 사울의 친족 한 사람이 나오니 게라의 아들이요 이름은 시므이라
그가 나오면서 계속하여 저주하고
6 또 다윗과 다윗 왕의 모든 신하들을 향하여 돌을 던지니 그때에 모든 백성과 용사들은
다 왕의 좌우에 있었더라
7 시므이가 저주하는 가운데 이와 같이 말하니라 피를 흘린 자여 사악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
8 사울의 족속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로 돌리셨도다 그를 이어서 네가 왕이 되었으나
여호와께서 나라를 네 아들 압살롬의 손에 넘기셨도다
보라 너는 피를 흘린 자이므로 화를 자초하였느니라 하는지라
9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왕께 여짜오되 이 죽은 개가 어찌 내 주 왕을 저주하리이까 청하건대
내가 건너가서 그의 머리를 베게 하소서 하니
10 왕이 이르되 스루야의 아들들아 내가 너희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그가 저주하는 것은 여호와께서
그에게 다윗을 저주하라 하심이니 네가 어찌 그리하였느냐 할 자가 누구겠느냐 하고
11 또 다윗이 아비새와 모든 신하들에게 이르되 내 몸에서 난 아들도 내 생명을 해하려 하거든
하물며 이 베냐민 사람이랴 여호와께서 그에게 명령하신 것이니 그가 저주하게 버려두라
12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13 다윗과 그의 추종자들이 길을 갈 때에 시므이는 산비탈로 따라가면서 저주하고
그를 향하여 돌을 던지며 먼지를 날리더라
14 왕과 그와 함께 있는 백성들이 다 피곤하여 한곳에 이르러 거기서 쉬니라
* 사악한 자(7절) 히브리어 ‘벨리야알’로, 성품이 매우 더럽고 나쁘다는 아주 심한 욕설이다.
오늘의 말씀요약
므비보셋의 종 시바가 나귀에 음식을 싣고 와 다윗을 공궤합니다. 므비보셋이 배신했다는
시바의 말에 다윗은 므비보셋의 전 재산을 시바에게 돌립니다. 이어 베냐민 사람 시므이가
다윗을 따라오며 저주합니다. 다윗은 원통함을 하나님께 맡기고 시므이를 그냥 둡니다.
오늘의 말씀해설
고난은 우리의 본모습을 살펴보게 합니다. 우리는 자기 능력을 과신하며 교만했던 것이 얼
마나 부끄러운지를 고난 속에서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난은 은혜입니다.
한때 절대 권력과 업적을 자랑하던 다윗은 아들 압살롬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어 다시 낮아집니다.
그러자 이전에 굽신거리던 사람도 속마음을 드러내고 그를 저주합니다. 하지만 다윗은
어려움을 통해 자기 죄를 돌아보고, 저주조차 하나님이 허용하신다면 달게 받기로 합니다.
그는 하나님 뜻을 인정하며 기도할 뿐입니다. 우리를 겸손의 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 고통의 은혜입니다.
- 묵상 질문: 압살롬에게 쫓겨 예루살렘을 빠져나가는 다윗의 모습은 어떠한가요?
- 적용 질문: 나를 좋지 않게 생각하거나 적대하는 사람이 있나요?
'≡ Bible QT 구약권 > 사무엘하 (삼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 하나님 앞에 무너지는 인간의 무력한 계략 (삼하17:1~14) (0) | 2016.02.10 |
---|---|
(33) 달콤한 말에 취하면 넘어집니다 (삼하16:15~23) (0) | 2016.02.09 |
(31) 믿음은 환난 중에도 희망을 품습니다 (삼하15:24~37) (0) | 2016.02.07 |
(30) 진정한 충성과 배려는 어려울 때 더 빛납니다 (삼하15:13~23) (0) | 2016.02.06 |
(29) 마음은 훔치는 게 아니라 얻어야 합니다 (삼하15:1~12) (0) | 201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