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충성과 배려는 어려울 때 더 빛납니다 (사무엘하15:13~23)
13 전령이 다윗에게 와서 말하되 이스라엘의 인심이 다 압살롬에게로 돌아갔나이다 한지라
14 다윗이 예루살렘에 함께 있는 그의 모든 신하들에게 이르되 일어나 도망하자 그렇지 아니하면 우리 중
한 사람도 압살롬에게서 피하지 못하리라 빨리 가자 두렵건대 그가 우리를 급히 따라와
우리를 해하고 칼날로 성읍을 칠까 하노라
15 왕의 신하들이 왕께 이르되 우리 주 왕께서 하고자 하시는 대로 우리가 행하리이다 보소서 당신의
종들이니이다 하더라
16 왕이 나갈 때에 그의 가족을 다 따르게 하고 후궁 열 명을 왕이 남겨 두어 왕궁을 지키게 하니라
17 왕이 나가매 모든 백성이 다 따라서 벧메르학에 이르러 멈추어 서니
18 그의 모든 신하들이 그의 곁으로 지나가고 모든 그렛 사람과 모든 블렛 사람과 및 왕을 따라 가드에서 온
모든 가드 사람 육백 명이 왕 앞으로 행진하니라
19 그때에 왕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도 우리와 함께 가느냐 너는 쫓겨난 나그네이니
돌아가서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20 너는 어제 왔고 나는 정처 없이 가니 오늘 어찌 너를 우리와 함께 떠돌아다니게 하리요 너도 돌아가고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 은혜와 진리가 너와 함께 있기를 원하노라 하니라
21 잇대가 왕께 대답하여 이르되 여호와의 살아 계심과 내 주 왕의 살아 계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사나 죽으나 종도 그곳에 있겠나이다 하니
22 다윗이 잇대에게 이르되 앞서 건너가라 하매 가드 사람 잇대와 그의 수행자들과 그와 함께한
아이들이 다 건너가고
23 온 땅 사람이 큰 소리로 울며 모든 백성이 앞서 건너가매 왕도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니
건너간 모든 백성이 광야 길로 향하니라
* 벧메르학(17절) 문자적으로 ‘멀리 떨어진 집’을 의미하는데 예루살렘 밖에 있는 별궁이었을 것이다.
오늘의 말씀요약
이스라엘의 인심이 다 압살롬에게 돌아갔다는 소식을 듣고 다윗은 가족과 신하들과 백성과 함께
예루살렘을 떠나 도망칩니다. 다윗은 가드 사람 잇대에게 돌아가라고 설득하지만,
잇대는 다윗을 따릅니다. 모든 백성이 울며 기드론 시내를 건너 다윗과 함께 광야 길로 갑니다.
오늘의 말씀해설
도피하는 다윗(15:13~18)
압살롬의 계략대로 온 이스라엘이 압살롬에게 넘어갑니다. 드디어 반란이 일어난 것입니다.
압살롬의 반역 소식을 들은 다윗은 모든 신하와 함께 예루살렘을 떠납니다. 이때 가족은 모두 데려가고 후궁
10명은 남겨 두어 왕궁을 지키게 합니다. 아마도 반드시 왕궁으로 돌아오리라 믿고 취한 조치였을 것입니다.
도피하는 다윗을 따라 백성도 벧메르학까지 이릅니다. 왕의 시위병인 그렛과 블렛 사람들, 다윗이
블레셋에 머물 때부터 따랐던 가드 사람들도 함께 도피합니다. 다윗의 범죄로 주어진 심판의 말씀(12:10)이
이렇게 성취됩니다. 죄로 인한 비극적인 상황과 하나님의 심판은 피할 수 없음을 알고 성결한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 묵상 질문: 압살롬이 반역을 일으킨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 적용 질문: 지금 내게 일어나는 어려움을 통해 깨달아야 할 하나님의 교훈은 무엇인가요?
잇대의 충성심(15:19~23)
이웃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함께 있어 주는 것은 큰 위로가 됩니다. 다윗은 블레셋 가드에서 망명한
잇대가 자신을 따르자 돌아가라고 권합니다. 위기를 만난 다윗으로서는 듬직한 용사 한 사람이 아쉬울 것입니다.
하지만 다윗은 이방인 잇대가 이스라엘의 내란에 휩쓸려 공연히 희생되지 않도록 배려한 것입니다.
하지만 잇대는 다윗이 어느 곳에 있든지, 살든지 죽든지 함께 있겠다고 다짐합니다. 의리를 지켜 그를 끝까지
돕는 길을 선택한 것입니다. 다윗은 잇대와 그의 수행자들과 가족 먼저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게 합니다.
그리고 자신은 뒤를 따릅니다. 반란군에 쫓겨 도망가는 처지지만 다윗은 자신을 믿고 따르는 백성과
가족을 먼저 배려할 줄 압니다. 지도자와 따르는 이들 사이에는 이 같은 신뢰와 사랑이 있어야 합니다.
- 묵상 질문: 다윗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돌아가도록 권면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적용 질문: 아랫사람을 위해서는 무엇을 배려하고, 윗사람을 위해서는 어떻게 섬겨야 할까요?
오늘의 기도
때로 삶에서 만나는 어떤 사건은 제 악함을 깨달아 회개하라고 하나님이 허락하시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힘들어도 남을 위한 배려를 잊지 않으며,
무력하게 도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도 끝까지 하나님을 붙잡게 하소서.
'≡ Bible QT 구약권 > 사무엘하 (삼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나를 성숙하게 하는 고난의 은혜 (삼하16:1~14) (0) | 2016.02.08 |
---|---|
(31) 믿음은 환난 중에도 희망을 품습니다 (삼하15:24~37) (0) | 2016.02.07 |
(29) 마음은 훔치는 게 아니라 얻어야 합니다 (삼하15:1~12) (0) | 2016.02.05 |
(28) 우리 언행은 내면을 반영합니다 (삼하 14:25~33) (0) | 2016.02.04 |
(27) 회개든 용서든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삼하14:12~24) (0) | 2016.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