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된 죄악은 재앙을 키웁니다 (사무엘하13:15~22)
15 그리하고 암논이 그를 심히 미워하니 이제 미워하는 미움이 전에 사랑하던 사랑보다 더한지라
암논이 그에게 이르되 일어나 가라 하니
16 다말이 그에게 이르되 옳지 아니하다 나를 쫓아 보내는 이 큰 악은 아까 내게 행한 그 악보다 더하다
하되 암논이 그를 듣지 아니하고
17 그가 부리는 종을 불러 이르되 이 계집을 내게서 이제 내보내고 곧 문빗장을 지르라 하니
18 암논의 하인이 그를 끌어내고 곧 문빗장을 지르니라 다말이 채색옷을 입었으니 출가하지 아니한 공주는
이런 옷으로 단장하는 법이라
19 다말이 재를 자기의 머리에 덮어쓰고 그의 채색옷을 찢고 손을 머리 위에 얹고 가서 크게 울부짖으니라
20 그의 오라버니 압살롬이 그에게 이르되 네 오라버니 암논이 너와 함께 있었느냐 그러나 그는
네 오라버니이니 누이야 지금은 잠잠히 있고 이것으로 말미암아 근심하지 말라 하니라
이에 다말이 그의 오라버니 압살롬의 집에 있어 처량하게 지내니라
21 다윗 왕이 이 모든 일을 듣고 심히 노하니라
22 압살롬은 암논이 그의 누이 다말을 욕되게 하였으므로 그를 미워하여 암논에 대하여
잘 잘못을 압살롬이 말하지 아니하니라
* 채색옷(19절) 보통 처녀들이 입는 옷으로 다말은 이 옷을 찢음으로써 자신이 당한 일을 공개했다.
옷을 찢고 재를 덮어쓰는 행동은 애도의 표현이기도 하다.
오늘의 말씀요약
암논이 다말을 심히 미워해 끌어내자 다말은 재를 머리에 덮어쓰고 채색옷을 찢고 울부짖습니다.
오라버니 압살롬이 이 일을 알고 다말을 자기 집에서 지내게 합니다.
다윗이 모든 일을 알고 심히 노하고, 압살롬은 암논을 미워하면서도 그의 잘잘못을 말하지 않습니다.
오늘의 말씀해설
암논의 변심(13:15~19)
왜곡된 욕망에서 비롯된 사랑의 감정은 지속되지 못합니다. 다말을 강제로 추행한 후, 다말을 향한
암논의 마음은 이제 극심한 미움으로 변합니다. 암논은 종을 시켜 다말을 집에서 쫓아내고 문을 잠그기까지 합니다.
순간적인 육신의 정욕을 만족시키고 나자 다말이 필요 없어진 것입니다. 암논의 사악한 행동에 상처를 입은
다말은 자신이 입었던 고운 옷을 찢어 버리고 재를 머리에 뒤집어쓰고 슬피 울부짖습니다. 수치를 숨기는 대신
공개적으로 드러낸 것입니다. 암논의 죄는 육체의 욕망대로 행한 것만이 아닙니다. 욕망을 충족하고 나서
다말을 비참하게 버림으로써 자기 행위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은 것입니다.
자기 욕망을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을 무참하게 희생시키는 것은 큰 죄악입니다.
- 묵상 질문: 암논이 다말을 강제로 범한 후에 심히 미워하게 된 까닭은 무엇일까요?
- 적용 질문: 육체의 소욕을 버리고 성령을 따라 살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압살롬의 증오(13:20~22)
암논이 다말에게 저지른 만행을 알게 된 압살롬은 다말을 안심시키고 자기 집에 머물게 합니다.
그는 누이동생 다말을 욕보인 암논을 증오했지만 아무 말 하지 않고 복수의 기회만 엿보며 때를 기다립니다.
다윗도 암논의 사악한 범죄에 대한 보고를 받고 분노합니다. 레위기에 기록된 율법에 따르면 누이를 겁탈한 암논은
사형에 처해야 합니다(레 20:17). 하지만 다윗은 장남인 암논에게 어떤 처벌이나 제재도 가하지 않습니다. 다
윗 자신이 과거에 간음죄를 범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왕위 계승자인 장남에 대한 그릇된 애정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부모에게는 자녀의 잘못을 경책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다윗은 하나님 앞에서 부모로서 바른 본분을 다하지 못해 재앙을 키우고 맙니다.
- 묵상 질문: 다윗이 암논의 범죄 소식을 듣고도 합당하게 처벌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적용 질문: 하나님의 말씀을 기준으로 삼아 다음 세대를 훈육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오늘의 기도
악하고 음란한 세대에 살지만 성령을 좇아 세상 물결을 거스르며 살기 원합니다.
상대주의 가치관이 아닌 진리의 말씀을 기준으로 삼아 다음 세대에 믿음의 본,
삶의 본을 보이도록 제게 거룩함의 기름을 부어 주소서.
'≡ Bible QT 구약권 > 사무엘하 (삼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인간의 계략을 버리고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라 (삼하14:1~11) (0) | 2016.02.02 |
---|---|
(25) 무작정 덮어 주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삼하13:23~39) (0) | 2016.02.01 |
(23) 비뚤어진 육체의 욕망 (삼하13:1~14) (0) | 2016.01.29 |
(22) 회개로 회복한 사랑의 관계 (삼하12:24~31) (0) | 2016.01.28 |
(21) 주님 뜻을 받아들이는 겸손하고 성숙한 믿음 (삼하12:15~23) (0) | 2016.01.27 |